알고리즘 문제 풀이/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LV.1 달리기 경주 / 시간 초과?

파란색 가운 2023. 9. 17. 15:55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887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players의 길이 ≤ 50,000
    • players[i]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 3 ≤ players[i]의 길이 ≤ 10
  • 2 ≤ callings의 길이 ≤ 1,000,000
    • 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playerscallingsresult
["mumu", "soe", "poe", "kai", "mine"] ["kai", "kai", "mine", "mine"] ["mumu", "kai", "mine", "soe", "po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4등인 "kai" 선수가 2번 추월하여 2등이 되고 앞서 3등, 2등인 "poe", "soe" 선수는 4등, 3등이 됩니다. 5등인 "mine" 선수가 2번 추월하여 4등, 3등인 "poe", "soe" 선수가 5등, 4등이 되고 경주가 끝납니다. 1등부터 배열에 담으면 ["mumu", "kai", "mine", "soe", "poe"]이 됩니다.

 

처음엔 에이 뭐야 ㅋㅋ 그냥 탐색해서 둘이 swap 해주면 끝이잖아?

레벨 1이라서 쉽네

 

 

 

라고 생각했던 난 바보였다 . ㅋ

테스트 케이스 중간부터 값이 커지니까 시간초과가 떠서 계속 고민하다가

분명 내가 떠올리지 못하는 방법이 있을거다.. 하니까

역시나 내가 항상 싫어했던 딕셔너리를 쓰는 문제네

이상하게 쟤는 왜이렇게 거부감ㅇ ㅣ들고 머리에 안 들어오는진 모르겠지만 ! 

열심히 해야죠 .. 

import sys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etrecursionlimit(100000000)
import heapq
INF = int(1e9)

def solution(players,callings):
    result = {player: i for i, player in enumerate(players)} 
    for who in callings:
        idx = result[who] # who는 문자열이므로 idx는 불린 선수의 현재 등수
        result[who] -=1 # 걔의 등수가 하나 올라가므로 등수 하나 -1 해주고, 
        result[players[idx-1]] +=1 # 그 인덱스보다 한단계 앞에 있던 애는 밀리니까 등수 +1
        players[idx],players[idx-1] = players[idx-1],players[idx]
        # 등수는 바꿔줬으므로 위치도 변경해주자
    return players


players = [] * 50000
callings = [] * 1000000

players = list(sys.stdin.readline().split())
callings = list(sys.stdin.readline().split())
print(solution(players,callings)